덕혜옹주 - 권비영

1912년 5월 25일: 고종의 막내딸로 덕수궁에서 출생

1921년 5월 덕혜라는 이름으로 황적에 오름.

1925년 3월: 일본 학습원으로 강제 연행

1931년 5월: 대마도백작과 강제 정략 결혼

1956년 8월: 외동딸의 자살. 계속되는 정신병동 감금생활과 조국의 외면

1962년 1월: 37년 동안의 유랑생활 끝에 드디어 대한민국 귀환


정혜(마사에): 덕혜옹주의 딸. 부모가 이혼하던해 스즈끼와 결혼. 1년후 유서를 남기고 종적을 감춤.


소 다케유키: 1930년 10월에 결혼 결정.

  - 대마도 번주 소 시게모치의 양자. 덕혜옹주의 남편.

 - 구로다 다케유키. 치바 현의 구두리 번의 번주 집안.

- 1945년. 대공습 시기에 소집명령으로 징집.

- 1946년 저택을 팔고 시모메구로의 작은 집으로 이사. 옹주를 마츠자와 정병원으로 입원.


김장한:

 - 김황진의 조카. 고종의 부마가 될뻔 함.

 - 박무영(그림자처럼 살아라.). 구국청년단.

이기수: 갑수의 동생. 구국청년단. 형(갑수)를 찾아 최부자, 허승 도움으로 일본으로 밀항.

김황진: 고종의 시중. 김장한의 백부.

한상학: 고종의 새로운 시중. 윤덕영이 보낸 하수인. 얼마 후 고종 사망.

한창수: 시종장. 덕혜옹주가 일본유학 가는 일에 주선.

귀인 양씨: 덕혜옹주의 어머니.

김을한: 김장한의 형. 기자로 활동.



교구치 사다코: 일본인 교사. 보모.

게이구찌: 가정교사.

스미나가: 개인교사.


갑수: 일본군 앞잡이. 일본에서 동생 기수 앞에서 총 맞고 사망.

허승

 - 장돌뱅이. 독립군. 군자금을 모아 임시정부에 전달.

 - 최부자(최상만)의 부탁으로 박무영을 일본으로 데려가 약속된 사람에게 인도.

제천 댁: 허승의 부인.

허복순(사끼코): 허승.제천댁의 딸. 13살에 일본순사에게 끌려갈뻔 했으나 옹주가 구해줌.

김향화: 해월관 기생. 수원에서 만세운동을 주도.

최상만: 최부자. 독립군에 군자금 조달.


카토 츠루마츠: 국수집 사장. 동생이 카미카제 특공대로 사망. 복순을 구해줌.

요코: 복순의 가게에서 함께 일함.


떨잠은 여성들이 예복을 입을 때 머리에 꽂는 장식

https://t1.daumcdn.net/thumb/R659x0/?fname=http%3A%2F%2Ft1.daumcdn.net%2Fencyclop%2Fm183%2FhDyHacCLKZh4GTEloEBYoK0IJS1wivyLuVODfmWJ%3Ft%3D1672603763000



소설이라는 형식을 빌어서 불운한 삶을 살았던 조선의 마지막 황녀의 슬픈 인생을 조금이나마 들여다 볼 수 있었다. 단, 복순의 실종과 다시 만나게 되는 시점의 차이(옹주가 딸을 낳고 10년은 지난 이후 인것 같은데..복순에게는 몇 일?주?월?)가 이해 안됨.


p.411








댓글

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

The 3n + 1 problem (콜라츠 추측)

이중 하나는 거짓말 - 김애란

동경만경 - 요시다 슈이치(이영미 옮김)